범죄와 안전 부문

35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도

  • 35항은 사회의 각 분야별 안전도를 일반시민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한다.

  • 1. 국가 안보 문제(전쟁 가능성, 테러, 북핵 문제 등)

    • 국가적 안보 위험으로 한반도에서의 전쟁, 북한 핵문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테러, 폭동에 의한 국가기반체계의 마비(에너지, 통신, 금융·재정, 교통 등)를 포함한다.

  • 2. 자연재해(태풍, 홍수, 지진 등)

    • 태풍, 홍수, 해일, 산사태, 폭설, 가뭄, 폭염, 지진, 쓰나미 등 천재지변으로 인한 자연적 재해 위험을 의미한다.

  • 3. 건축물 및 시설물 위험(붕괴, 폭발 등)

    • 건축물 붕괴사고, 대형폭발사고, 가스사고 및 엘리베이터 등 시설물 고장에 의한 사고를 의미한다.

  • 4. 교통사고

    • 자동차 교통사고(충돌, 음주운전, 뺑소니 등)와 열차 전복, 비행기추락, 선박침몰 등을 의미한다.

  • 5. 화재(산불 포함)

    • 가정집․사무실․공장 등의 화재 및 산불을 의미한다.

  • 6. 먹거리 위생 문제 (불량 식품, 식중독 등)

    • 먹거리로 인해 건강을 위협하는 불량식품을 제조, 유통해 신체에 해를 끼치는 것을 의미한다.

  • 7. 식량 안보 문제(곡물가 폭등, 식량 부족 등)

    • 바이오연료 생산 증가, 농산물 수입의존, 유가폭등으로 인한 곡물가 폭등, 주요 곡창지대의 가뭄, 식량수급 불균형, 식량 자급률 부족 등을 의미한다.

  • 8. 정보 보안 문제(컴퓨터 바이러스, 해킹 등)

    • 컴퓨터 바이러스 확산 및 해킹을 통한 주요 전산시설 침입 등을 의미한다.

  • 9. 개인정보 유출

    • 정보처리·취득 기술의 발달에 따른 개인정보 과다 수집·집중 현상 등과 이와 관련한 고의적·우발적 상황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사태 발생 등을 의미한다.

  • 10. 신종 질병(신종 바이러스 감염 등)

    • 신종 전염병의 예로는 신종플루 등 신종 바이러스, 조류독감, 광우병, AIDS 등이 있다.

  • 11. 범죄

    • 절도, 사기, 강도, 폭행, 성폭력, 학교 폭력, 납치, 유괴, 살인 등 범죄와 관련한 위험도를 의미한다.

  • 12. 전반적인 사회 안전

    • 위의 모든 요소를 고려한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안전 상태를 의미한다.

36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

  • 안전의 개념이 기존의 범죄와 공공질서 뿐 아니라 국가보안, 환경문제, 신종질병, 경제적 불안(실업, 기업파산 등) 등 다양한 측면으로 확장됨에 따라 사회를 가장 불안하게 만드는 주된 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 7. 경제적 위험(기업 파산, 실업 등)

    • 경제적 위험에는 급격한 경기변동, 불완전 고용과 취업난, 물가폭등, 외환위기, 개인 및 국가부채 증가 등이 포함된다.

  • 10. 기타 ( )

    •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부담 급증, 위험 불감증, 지역간 불균형, 세대간 갈등 등 기타 사유를 써넣는다.

37 사회의 안전 상태 변화

  • 5년 전(2015년)과 비교하여 우리 사회가 안전해졌다고 생각하는지 위험해졌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한다.

37-1 향후 사회의 안전 상태 변화

  • 5년 후(2025년)와 비교하여 우리 사회가 안전해질 것 같다고 생각하는지 위험해질 것 같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한다.

38 다른 사람들의 준법 수준

  • 38항과 39항은 타인의 준법 수준과 자기의 준법 수준을 구분하여 조사한다.

39 자신의 준법 수준

  • 여기서 “법”이란’공공질서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법’개념을 의미한다.

40 공공질서 준수 수준

  • 우리 국민이 기초 질서를 지키는 수준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각 사항별로 파악하는 항목이다.

  • 1. 차례 지키기(승강장, 극장, 화장실 등)

    • 차를 타거나 영화 등을 보기 위해 표를 살 때 또는 화장실에서 줄을 서는 것을 의미한다.

  • 2. 거리 환경 유지(담배꽁초 쓰레기통에 버리기, 거리에 침 뱉지 않기 등)

    • 길거리에 휴지나 쓰레기, 담배꽁초 등을 버리지 않기, 침이나 껌 등을 함부로 뱉지 않기, 불법 광고지 미부착 등을 의미한다.

  • 3. 보행질서(횡단보도 이용, 우측 보행 등)

    • 보행자들이 무단횡단을 하지 않고, 횡단보도나 지하도․육교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보행하거나, 신호등, 우측보행 등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 4. 운전자 교통질서(차선 지키기, 과속하지 않기, 주차질서 지키기 등)

    • 운전자 교통질서에는 운전자들이 차선위반, 앞지르기, 과속운행, 교통신호 위반․정지선 위반 등을 하지 않고 안전벨트 매기, 양보 운전, 주차질서 등 교통질서를 지키는 것을 의미한다.

  • 5. 금연 구역 준수

    • 공원이나 거리, 건물과 같이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공공장소 및 기타 금연구역에서 담배를 피우지 않는 행위를 의미한다.

  • 6. 공공장소 정숙(휴대 전화 큰 소리로 사용하지 않기, 조용히 말하기 등)

    • 공공장소에서 휴대전화 사용이나 뛰어 다니기, 고성방가 등으로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는 행위를 의미한다.

41 야간 보행의 안전도

  • 평소 일상생활을 하면서 야간에 혼자 걷는 경우에 안전하다고 느끼는지 불안하다고 느끼는지 조사한다.

41-1 야간 보행이 불안한 이유

  • ’3 약간 불안하다고 느낀다, ’4 매우 불안하다고 느낀다’에 해당되는 사람은 평소 야간 보행 시 두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다.

  • 6. 기타 ( )

    • 제시되지 않은 원인이 있는 경우 해당 원인을 써넣는다.

42 재난이나 긴급 상황 발생 시 대처

  • 본 항목은 재난이나 긴급 상황 발생 시, 그 대처방법을 알고 있는지 물어 응답자의 대처 방안 숙지 정도와 실제 대처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