Ⅴ 가족
43 부모 생존 여부
가구주와 배우자만 조사하는 항목으로 결혼한 여성의 경우 친정 부모님을 기준으로 조사한다.
44 부모 동거 여부
1. 같이 살고 있다.
동일 가구에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는 경우가 해당한다.
43항에서’1부모님 모두 살아 계신다’로 응답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님 중 한 분만 응답자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도 해당한다.
부모님이 같이 살고 있지 않은 경우, 부모님이 누구와 살고 있는지 조사한다.
4. 기타 ( )
양로원, 요양원 등 위에서 열거한 내용 이외의 경우로 그 내용을 써 넣는다.
45 부모 생활비 마련 방법
가구주와 배우자만 조사하는 항목으로, 생활비는 단순한 용돈이 아닌 식료품비, 주거비, 피복비, 보건위생비, 교통통신비, 교양오락비 등이 포함된 기초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비용을 말한다.
부모님이 누구와 살고 계시는지와 관계없이 주로 누가 생활비를 마련하고 있는지 조사한다.
생활비 마련 방법이 다양한 경우 부모님 생활비를 가장 많이 부담하고 있는 주체를 기준으로 조사한다.
부모님이 납부한 사회보험료에 따라 받는 연금이 주 생활비인 경우 ‘1. 부모님 스스로 해결’을 선택한다.
46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실제 자기 부모의 생존여부 및 가족구성 형태와 관계없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부모 부양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조사한다.
1. 부모님 스스로 해결
자식에게 의탁하지 않고, 부모 스스로 노후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
2. 가족
가족이 부모의 노후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
3. 가족, 정부, 사회가 함께
가족과 정부 및 사회가 공동으로 노후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
4. 정부,사회
정부와 사회단체가 노후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
5. 기타 ( )
위의 열거한 내용 이외의 경우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써 넣는다.
47 결혼
실제로 결혼을 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결혼에 대한 응답자의 일반적인 생각을 조사한다.
48 결혼 문화
여성의 사회적․경제적 지위향상, 다문화가구의 증가, 전통적인 결혼관의 퇴색 등에 따른 결혼문화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2. 결혼 생활은 당사자보다 가족 간의 관계를 우선해야 한다.
분가, 맞벌이, 자녀계획 등 결혼 생활의 중요한 사안을 부부 당사자가 아닌 시부모나 친정부모 등 다른 가족의 의견을 먼저 고려하는 경우
49 결혼식 문화
우리사회의 결혼식 문화(비용, 의식절차 등)에 대한 응답자의 일반적인 생각을 조사한다.
50 이혼
실제로 이혼을 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혼에 대한 응답자의 일반적인 생각을 조사한다.
51 재혼
실제로 재혼을 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재혼에 대한 응답자의 일반적인 생각을 조사한다.
52 입양
실제 입양여부와 관계없이, 응답자 본인이 자녀를 입양하는 것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을 조사한다.
‘입양’이란 혈연관계가 아닌 일반인들 사이에서 법률적으로 친자관계를 맺는 행위를 말한다.
52-1 입양을 하고 싶지 않은 이유
52항에서’3입양하고 싶은 생각이 없다’로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입양을 하고 싶지 않은 이유를 조사한다.
1. 입양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
자녀 유무에 상관없이 입양의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
2.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어서
자녀양육과 교육에 필요한 경제적 여유가 없거나 부담을 느끼는 경우
3. 입양 자녀를 향한 사회적 편견이 있어서
입양자녀에 대한 주위의 시선이나 편견이 걱정되는 경우
4. 입양 자녀의 정확한 출생 정보를 알 수 없어서
입양 자녀의 친부모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어 불안한 경우
5. 친자녀처럼 양육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되어서
친자녀처럼 허물없이 키울 수 있을지 또는 친자녀와의 차별없이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
53 가사 분담
실제 혼인여부에 관계없이 일상적인 가정생활에서 부부간 가사분담에 대한 응답자의 일반적인 태도를 조사한다.
53-1 가사 분담 실태
부부가 평소 실제로 가사분담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조사한다.
53항은 가사분담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묻는 것임에 비해, 53-1항은 현재 가사분담을 실제로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묻는 항목이다. 부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의 남편과 아내만 응답한다.
남편과 아내가 각각 응답해야 하므로 부부 중 한 명이라도 누락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하며, 남편과 아내의 응답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부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에는 주말부부도 포함된다.
54 가족 관계 만족도
사회조직의 기본단위로서 사회생활의 핵심구성요소가 되는 가정에 대해 그 가족 구성원 상호간의 만족도를 조사한다.
상대 구성원과 원활히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지, 갈등발생시 원만히 해결되는지, 주요 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협조가 잘되는지 등을 고려하여 만족도를 조사한다.
동일 가구 내에 같이 살고 있지 않는 경우도 조사한다.
단, 응답 대상 가족구성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6. 해당 없다’에 표시한다.
1. 배우자와의 관계
미혼자이거나 배우자가 사망, 이혼한 경우에는’6. 해당 없다’에 표시한다.
3. 자기 부모와의 관계
부모가 생존해 있지 않은 경우는’6. 해당 없다’에 표시한다.
4.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
시부모, 장인, 장모와의 관계 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다.
배우자가 없거나, 배우자의 부모가 생존해 있지 않은 경우는’6. 해당 없다’에 표시한다.
배우자와 이혼한 후 재혼하지 않고 전 배우자의 부모와 계속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에도’6. 해당 없다’에 표시한다.
배우자와 사별한 후 재혼하지 않았다면, 응답자의 판단에 따르되 조사는 가능하다.
6. 배우자의 형제자매와의 관계
결혼한 경우 배우자의 형제자매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다.
결혼하지 않았거나, 배우자의 형제자매가 없는 경우는’6. 해당 없다’에 표시한다.
배우자와 이혼한 후 재혼하지 않고 전 배우자의 형제자매와 계속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에도’6. 해당 없다’에 표시한다.
배우자와 사별한 후 재혼하지 않았다면, 응답자의 판단에 따르되 조사는 가능하다.
55 청소년이 고민하는 문제
응답자 본인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조사한다.
조사대상자가 만 24세 이하 가구원임에 유의한다.
10. 학교·학원폭력
집단 따돌림, 학교나 학원에서의 폭력이나 괴롭힘 등을 의미한다.
55-1 청소년의 고민 상담 대상
청소년이 고민이 있는 경우 주로 누구와 상담하는지 조사한다.
조사대상자가 만 24세 이하 가구원임에 유의한다.
3. 형제자매
친형제자매, 친척 형이나 누나 등과 상담하는 경우
5. 선후배
학교 선후배, 고향 선후배, 직장 선후배 등과 상담하는 경우
6. 스승(교사, 교수, 상담교사)
교사, 교수 및 학교에서 상담을 전담으로 담당하는 교사와 상담하는 경우
7. 전문 상담가(상담센터, 온라인 전문 상담 등)
사랑의 전화, 청소년 고민상담소, 아동청소년 상담센터, 인터넷 중독 전문상담사 등을 통해 고민을 상담하는 경우
8. 인터넷(누리소통(SNS) 등)
인터넷 커뮤니티, 인터넷 누리소통 서비스를 통하여 상담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전문 상담가와 상담하면 ‘7. 전문 상담가’로 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