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의 실태 및 현황 파악, 시행된 소상공인 정책의 성과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2018년 : 통계청 통계대행제도를 통한 시험조사 수행
2019년(2018년 기준) : 통계청, 중소벤처기업부 공동으로 작성(제1회)
2023년(2022년 기준) : 통계청, 중소벤처기업부 공동으로 작성(제5회)
조사 대상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매출액 기준으로 소기업에 해당하고, 「소상공인기본법」에 따라 상시근로자 기준*에 해당되는 사업체
* 소기업 중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은 상시종사자 10명 미만, 그 밖의 업종은 5명 미만인 사업체
조사 범위
제조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소상공인을 대표하는 주요 11개 업종
* 제조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부동산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조사대상 지역 : 전국
조사대상 규모 : 약 65,000여개 소상공인
일반현황, 창업현황, 경영현황, 정부지원·사업전환 등 4개 분야 30개 내외 문항
(일반현황) 사업체명, 대표자, 소재지, 사업자형태, 사업종류, 종사자 현황, 프랜차이즈 여부, 창업형태, 사업장 이전 경험, 직전 종사상 지위, 창업횟수
(창업현황) 창업동기, 창업준비기간, 창업활동‧중요성, 창업애로, 창업비용
(경영실적) 영업기간, 고객 결제방법, 사업장 점유형태, 운영활동, 소상공인 협․단체 가입여부, 사업실적, 전자상거래 매출실적, 부채 현황, 운영애로
(정부지원‧사업전환) 정부지원 경험, 희망정책, 재난지원, 사업체 운영계획, 노후준비
보도자료 발표 : 2023년 12월 말 예정(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