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목적
-
서비스업에 대한 산업구조와 경영 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각종 정책 수립 및 경영 계획의 기초자료 등으로 제공
조사연혁
-
1988년(제1회) 총사업체통계(1986년 실시) 모집단으로 최초 실시
-
2013년(제22회) J, P, Q 산업은 공표범위 변경(세분류 → 세세분류)
-
2014년(제23회) E, L, N, R, S 산업 공표범위 변경(세분류 → 세세분류)
-
2017년(제25회)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조사를 서비스업조사로 통합
-
2018년(제26회) 도매소매업조사를 서비스업조사로 통합
-
2019년(제27회) 프랜차이즈통계를 서비스업조사에서 분리하여 별도 조사
-
2023년 제30회 조사 실시
모집단 및 표본설계
모집단
-
2022년 기준 전국사업체조사 결과 한국표준산업분류상 11개 대분류(E, G, I, J, L, M, N, P, Q, R, S) 중 일부업종* 을 제외한 모든 사업체
-
* 61(우편 및 통신업), 70(연구개발업), 851(초등교육기관), 852(중등교육기관), 853(고등교육기관), 854(특수학교, 외국인학교 및 대안학교),
94(협회 및 단체)
표본설계
-
표본추출방법 : 층화계통추출
-
표본규모 특성변수 : 연간 매출액
-
층별 표본배분 방법 : 네이만 배분(Neyman allocation)
-
표본구분 : 전수업종, 전수층, 표본층
-
• 전수업종: 백화점, 면세점, 종합병원(3개 업종), 시∙도 산업세세분류별 10개 이하인 사업체(모두 표본)
• 전수층 : 전년 전수층, 전수경계점* 이상 중견규모 이상 사업체(모두 표본)
* 전수경계점: 종사자 50인 이상 또는 연간 매출액 100억원 이상, 일부 업종은 전수 경계점 상향 조정
• 표본조사(표본층) : 전수경계점 미만의 중소규모 사업체(일부 표본)
조사대상
-
한국표준산업분류 11개 산업 대분류(E, G, I, J, L, M, N, P, Q, R, S)에 해당하는 사업체 중 표본으로 선정된 약 25만개 사업체
-
조사단위 : 사업체
코드 |
대분류 명칭(제외업종) |
E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G |
도매 및 소매업 |
I |
숙박 및 음식점업 |
J |
정보통신업 (61 우편 및 통신업 제외) |
L |
부동산업 |
M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70 연구개발업 제외) |
N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P |
교육서비스업 (851~854 제외) |
Q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R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S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94 협회 및 단체 제외) |
조사표의 종류 및 조사항목
①도매 및 소매업 ②숙박 및 음식점업 ③서비스업 통합
조사항목
-
공통항목(12개)
-
업종별 특성항목(16개)
-
• G 도매 및 소매업 : 7개 항목
-
- 디지털 플랫폼 거래 여부, 사업체 건물(사업장) 연면적[매장 연면적 포함], 무인 결제 기기 도입 여부, 배달(택배) 판매 여부,
상품 매입처별 구입액 구성비, 상품 판매처별 매출액 구성비, 상품 판매 유형별 매출액 구성비
-
• I(55) 숙박업 : 8개 항목
-
- 온라인 거래 여부, 디지털 플랫폼 거래 여부, 사업체 건물(사업장) 연면적, 무인 결제 기기 도입 여부, 객실 수, 월평균 객실이용 건수,
편의시설 개수, 매출형태별 수입액
-
• I(56) 음식점 및 주점업 : 6개 항목
-
- 온라인 거래 여부, 디지털 플랫폼 거래 여부, 사업체 건물(사업장) 연면적, 무인 결제 기기 도입 여부, 객석 수, 배달(택배) 판매 여부
-
• J 정보통신업 : 2개 항목
-
- 디지털 플랫폼 거래 여부, 직능별 종사자 수
-
• Q(87) 사회복지 서비스업 : 1개 항목
-
- 직능별 종사자 수
-
• R 예술, 스포츠, 여가 관련 서비스업 : 2개 항목
-
- 온라인 거래 여부, 이용인원(고객) 수
-
•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L 부동산업, N 사업지원 및 시설관리 서비스업, P(855~857) 교육 서비스업,
S(95,96)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1개 항목
-
- 온라인 거래 여부
결과공표
-
잠정결과 : 2023년 12월말(보도자료)
-
확정결과 : 2024년 2월 말(KOSIS 국가통계포털), 3월 말(보고서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