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제조업국내공급지수
시점
---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작성목적
제조업제품의 국내공급동향을 국산과 수입을 포함하여 조기에 파악·제시함으로써 내수시장 전체의 동향 및 구조변화 등 각종 정책수립 및 연구·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작성주기
월
작성체계
기초자료 수집(통계청, 관세청, 한국은행 ECOS) → 지수 산출 → 결과표 작성
통계종류
일반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산업동향과 (☎ 042-481-2170)
작성목적 및 활용
작성목적
제조업제품의 국내공급동향을 국산과 수입을 포함하여 조기에 파악·제시함으로써 내수시장 전체의 동향 및 구조변화 등 각종 정책수립 및 연구·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통계(활용)분야 · 실태
광업·제조업
작성유형
작성유형
가공통계
작성대상
작성대상 범위
모집단
ㅇ (국산)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모든 제조업 품목
- 기준년도 경제총조사(광업제조업부문) 제조업 품목
ㅇ (수입) 국내생산 제조업 품목에 대응하는 수입품목
표본(채택품목)
ㅇ (국산) 광업제조업동향조사(월간) 제조업 품목 478개
ㅇ (수입) 광업제조업조사 제조업 품목 2,704개에 대응하는 수입품목 약 12,610개
작성대상 지역
전국
적용분류
(주) 산업/중분류
작성항목
작성항목
- 업종별* 국내공급지수(전체․국산․수입) 및 수입 점유비
* 1개 대분류(C), 24개 중분류
- 재(재화용도)별* 국내공급지수(전체․국산․수입) 및 수입점유비
* 최종재(자본재․소비재), 중간재
- 업종 및 재별 수입자료 국가(권역)*별 비중
* 8개 국가(권역): 중국, 미국, 일본, EU, 아세안, 중동, 중남미, 기타
공표
공표주기
월
공표시기
작성기준 월 익익월 초
공표범위
전국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언론(보도자료)
보도자료(제조업 국내공급동향)는 분기별로 제공
작성기준
작성대상기간 및 작성기준시점
통계작성 대상기간: 매월 1일~말일, 지수기준시점: 기준년도(2015)년)
작성기간
작성기준월 익월 하순~익익월 초순
작성주기
월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다음 지표들과는 포괄범위 및 환가여부 차이 등으로 다소 상이한 움직임을 보일 수 있으므로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람
○ 소비재 국내공급과 소매판매액지수: 전자는 공산품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자는 공산품 외에 농수산품 포함
○ 소비재 국내공급과 GDP 민간소비: 전자는 공산품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자는 공산품 외에 농수산품 및 서비스 등 포함
○ 자본재 국내공급과 GDP 설비투자: 전자는 1품목 1용도 기준인 반면, 후자는 1품목 다용도 기준
○ 수입공급과 통관수입: 전자는 제조업 품목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자는 전체 수입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
주요 용어해설
수입점유비
수입점유비: 국내공급(국산+수입)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
기초자료
기초자료 수집 및 자료명
- 광업제조업동향조사(통계청), - 무역통계(관세청), - 수입물가조사(한국은행), - 품목별 내수출하 등 물량자료 - 품목별 수입금액·중량·수량 자료, - 수입물가지수
작성연혁
작성연혁
주요연혁
- 2016. 9.: 제조업 국내공급지수 최초 작성
- 2018. 3.: 2015년 기준 지수개편
- 2023. 3.: 2020년 기준 지수개편
작성체계
작성체계
기초자료 수집(통계청, 관세청, 한국은행 ECOS) → 지수 산출 → 결과표 작성
승인내역
승인번호
101083
승인일자
2016-09-02
통계종류
일반통계
지수편제
지수분류체계
지수분류체계
- 재별 분류: 최종재(소비재+자본재), 중간재
- 업종별 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의 1개 대분류(제조업) 및 25개 중분류
기준년도
기준년도
2020년
지수작성방법
지수산식
□ 품목별 실질 공급금액 산출
○ 월별로 국산금액과 수입금액을 합산하여 전체 공급금액 산출
① 국산 및 수입 포괄범위
• 국산: 내수출하 + 기타출하(동일기업내 타공장 출하 등)
• 수입: 국가간 위․수탁 가공 수입(거래구분코드 21,22,29) 제외
② 기준금액
• 기준년도의 국산.수입 금액 12개월 평균값
• 비채택품목까지 확대 산출(비채택품목 금액을 채택품목에 비례배분 가산)
③ 지수
• 국산지수
- 채택품목만으로 작성
• 수입지수
- 채택 및 비채택 품목 모두 포함 작성
□ 업종 및 재별 실질 공급금액 산출
○ 해당월의 품목별 실질 금액을 합산하여 상위분류별 실질공급금액 산출
□ 금액자료의 지수화
○ 품목, 업종 및 재별 실질공급금액을 기준년 평균값을 이용하여 지수화
• 해당월 지수 = 해당월 실질금액÷기준년도의 실질금액 12개월 평균값×100
디플레이터
수입금액자료 디플레이터: 수입물가지수
국산 내수출하금액 디플레이터: 생산자물가지수
기초자료
지수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 광업제조업동향조사 품목별 내수출하, 기타출하 물량자료(월)
- 2020년 기준 경제총조사 품목별 내수출하금액
- 국가별, 품목별, 거래구분별 수입자료
- 수입물가지수(원화기준)
- 생산자물가지수
- 대미달러환율(월평균)
지수작성계열
○ 업종별 국내공급(국산+수입) 지수
- 1개 대분류, 25개 중분류
○ 재별 국내공급(국산+수입) 지수
- 재별: 최종재(자본재+소비재) 및 중간재
○ 업종별X재별 국내공급지수
○ 업종 및 재별 국산 및 수입 점유비(명목금액 기준 산출)
- 수입점유비: 국내공급(국산+수입)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
○ 업종별X재별 수입점유비
지수형태 및 활용
원지수(경상/불변)
원지수: 불변지수
계절조정지수
계절조정지수: 매년 초 X-13 ARIMA 방법에 의하여 산출
-전월비, 전분기비 등 단기 분석시 활용
지수개편
개편목적
품목별 기준금액 현실화, 관련 기초통계 개편결과 반영 등을 통하여 통계의 현실반영도와 정확성 제고
개편주기
5년
개편내용
- 기준금액 재산출
- 기초통계 개편결과 반영
- 추가 통계표 신설
참고자료
비밀보호
마이크로데이터(관리실태 포함)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개별정보 미포함
집계표 데이터
- 1개 대분류, 25개 중분류, 5개 소분류(C261~C265), 4개 재별분류(최종재(소비재+자본재), 소비재, 자본재, 중간재)만 자료 공개
- 나머지 소분류별, 품목별 등은 비공개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미제출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