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장래가구추계
시점
---
2022
2020
2019
2017
2012
2007
2002
작성목적
가구의 양적, 구성적 변화를 추정하여, 미래의 가족 형성과 해체 양상에 대비하고 노인, 여성, 아동 등 정부의 가족 복지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작성주기
5년
작성체계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 인구에 대한 가구주의 비율인 가구주율을 적용하여 가구를 산출
통계종류
일반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인구동향과 (☎ 042-481-2256)
작성목적 및 활용
작성목적
가구의 양적, 구성적 변화를 추정하여, 미래의 가족 형성과 해체 양상에 대비하고 노인, 여성, 아동 등 정부의 가족 복지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통계(활용)분야 · 실태
인구
작성유형
작성유형
가공통계
작성대상
작성대상 범위
일반가구
작성대상 지역
전국
적용분류
(주) 해당없음
작성항목
작성항목
전국 및 시도별 가구주의 성/연령/혼인상태별 추계가구
가구주의 연령/가구유형별 추계가구
가구주의 연령/가구원수별 추계가구
가구유형/가구원수별 추계가구
가구주의 연령/가구유형/가구원수별추계가구
1인가구의 성/연령별 추계가구
공표
공표주기
5년
공표시기
작성기준 년 익익년 6월(전국), 10월(시도)
공표범위
전국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간행물, 언론(보도자료)
장래가구추계
작성기준
작성대상기간 및 작성기준시점
7.1 기준
작성기간
1월~12월
작성주기
5년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1. 장래가구추계 시도편은 최근의 가구변동 추이가 미래에도 지속된다는 가정이 실현되었을 때 예상되는 가구에 대한 전망치이므로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
- 향후 사회 경제 정책적인 환경변화 및 사회적 행동 양식 변화에 따라 전망치와 실적치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추계 기준 시점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결과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2. 장래가구추계 시도편의 2020년 기준가구는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와 차이가 있습니다.
- 자료의 기준시점이 가구추계는 7.1일, 인구총조사는 11.1일입니다.
3. 수록된 자료에 대한 문의사항은 통계청 인구동향과(042-481-2284, 2256)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용어해설
가구
가구는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 하는 생활단위
가구주
가구주는 호주 또는 세대주와는 관계없이 가구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는 사람을 말하며,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끼리 모여 사는 경우에는 그 중 한 사람(대표자)이 가구주가 됨
세대
일반가구에 한하여 가구주와 그 가족의 친족관계에 따라 1세대 가구, 2세대 가구 등으로 구분함
기초자료
기초자료 수집 및 자료명
인구주택총조사,장래인구추계,인구동태통계
작성연혁
작성연혁
2002년: 전국 장래가구추계 처음 공표
2007, 2012, 2017년: 전국 및 시도 장래가구추계 공표
2019년: 전국 및 시도 장래가구특별추계 공표
2022년: 전국 및 시도 장래가구추계 공표
작성체계
작성체계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 인구에 대한 가구주의 비율인 가구주율을 적용하여 가구를 산출
승인내역
승인번호
101062
승인일자
2002-07-25
통계종류
일반통계
참고자료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제출
OECD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