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사망원인통계
시점  english
작성목적 우리국민의 정확한 사망원인 구조를 파악하여 국민복지 및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작성체계 가공분석:가족관계의 등록등에 관한 법과 통계법에 따라 전국 시구 및 읍면동에 신고된 사망신고서 및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영아․모성․태아사망 건에 대한 조사자료로 작성
통계종류 지정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인구동향과 (☎ 042-481-2252)
작성목적 및 활용
작성목적 우리국민의 정확한 사망원인 구조를 파악하여 국민복지 및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통계(활용)분야 · 실태 보건
작성유형
작성유형 가공통계
작성대상
작성대상 지역 전국
적용분류 (주) 질병사인/중분류
작성항목
작성항목 - (사망신고서) 사망자 성명,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사망일시, 사망장소, 사망원인, 진단자,
    사망종류, 국적, 교육정도, 직업, 혼인상태 등
- (사망원인보완조사) : 사산,영아,모성*사망 3개 부문 총85항목
공표
공표시기 작성기준 년도 익년 9월
공표범위 시도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간행물, 언론(보도자료)
사망원인통계연보,영아모성출생전후기분석보고서
kostat.go.kr, kosis.kr
작성기준
작성대상기간 및 작성기준시점 작성대상연도 1.1.~12.31.
작성기간 연중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 1983년~1996년까지 자료는 10년간의 지연신고 누적분이 포함된 결과이며. 이후 기간은 동일한 기준으로 시계열 비교를 위해 당해년도 신고분만 집계한 결과임



- 사망신고의 법적기한은 사망발생후 1개월 이내이나, 지연신고가 있을 수 있어 익년도 4월까지 16개월간의 신고자료중 당해년도 사망자를 집계



- 사망원인순위 선정에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사망제표를 위해 권고하고 있는 일반사망선택분류표(80항목) 중 악성신생물을 단일 항목으로 통합한 57항목을 적용



- 영아사망(출생후 1년이내 사망)은 출생 및 사망신고 동시 누락이 많아, 사망원인보완조사를 통해 보완(추가로 영유아 화장신고자료(참고로 1999년 자료부터)와 모자보건법에 의한 신생아사망자료(2001년 자료부터)를 수집)

- 외부행정기관 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 자료부터 사망원인을 보완



- 사망률 계산시 1992년까지는 장래인구추계(통계청,2006)의 연앙인구를 소급·적용하여 산출하였고, 1993년부터는 주민등록 연앙인구를 사용
주요 용어해설
악성신생물(암) 정상세포 이외의 세포가 생체기능에 필요도 없이 증식하여 인접 정상조직을 파괴하고 기계적, 내분비적, 화학적으로 장애를 일으키며 원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전이해서 증식하는 능력을 가진 질환군을 총칭
*폐암(Malignant neoplasm of lung) : 폐에 생기는 암으로 원발성과 전이성이 있음. 원발성은 대부분 기관지 점막상피에서 발생하며, 조직형에 따라 선암, 편평상피암, 미분화암 등으로 나뉨
*위암(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 위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위 점막의 위샘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기원하는 선암이 대부분임
*간암(Malignant neoplasm of liver) : 간이 원발인 경우 간세포암, 간내담관암, 육종, 악성혈관내종양 등이 있으며 빈도로는 간세포암이 많고 중요한 원인은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임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내분비샘(하수체, 부신, 갑상샘, 성샘 등)과 영양관련 및 대사성 질환(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영양소를 섭취하고 이를 체성분과 에너지원으로 저장 및 분해하여 생체활동을 행하는 것을 대사라 하는데 이 대사 과정에 이상이 생김)을 총칭
*당뇨병(Diabetes mellitus) : 탄수화물을 산화하는 기능이 여러 가지 정도로 장애된 대사성 질환으로 보통 췌장 특히 Langerhans섬의 활성저하와 그 결과 발생하는 인슐린 기구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함
순환기계통의 질환 혈액의 순환에 관여하는 제기관(심장을 포함한 대순환ㆍ소순환계를 말함)에 질병이 생긴 경우를 총칭
*심장 질환(Heart diseases) : 인체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심장과 관련된 질환으로 허혈성 심장 질환, 심장성 부정맥, 심부전등이 있음
*허혈성 심장 질환(Ischaemic heart diseases) : 대표적으로 협심증, 심근경색증이 있으며 관상동맥의 질병이 진행함에 따라 심근에 대한 혈액공급이 감소하거나 중단되는 까닭에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 심장장애를 일컬음
*기타 심장 질환(Other heart diseases) : 심내막염 및 심장 판막장애, 전도장애 및 심장성 부정맥, 심부전 등이 있음. 심부전이란 정맥계를 거쳐서 심장에 되돌아 오는 혈액을 심장이 충분히 구출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함
*뇌혈관 질환(Cerebrovascular diseases) : 뇌혈관의 이상에 의해 갑자기 발생하여 뇌기능 장애를 일으켜 쓰러지는 병으로써 발증 형태에 따라 두개내의 혈관 일부가 파손되어 출혈하는 출혈성과 혈관 속의 혈액 흐름이 나빠지거나 막히기도 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으로 구별됨
호흡기계통의 질환 호흡기계(가스 교환을 행하는 호흡에 관한 기관의 총칭)의 질병
*만성하기도질환(Chronic lower respiratory diseases) : 기도(氣道)는 상, 하기도로 구분되며 하기도는 후두, 기관, 기관지로 이어지는 부분을 말함. 주요 질병으로는 기관지염, 천식, 폐기종이 있으며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만성적으로 호흡에 장애를 주는 폐질환의 총칭으로써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 등이 이에 속함
소화기계통의 질환 섭취한 음식물을 분자량이 작은 것으로 분해해 장관에 흡수하는 기관을 소화기라 하고, 소화관과 그 부속기관으로 이루어져 있음. 소화관에는 구강, 인두, 식도, 위, 소장, 대장으로 이루어지는 입에서 항문까지의 전 길이가 약 9m의 속이 빈 기관에 생기는 질환의 총칭
*간질환(Diseases of the liver) : 알콜성 간질환, 간경화증 등이 있으며 간동맥의 폐색 때문에 그 유역하의 조직에서 생기는 간장애를 말함. 원인은 바이러스 간염, 알콜성 간염, 중독성 간염에서 진전함
사망의 외인 인체 외부의 요인으로 인한 사망을 총칭함
*운수사고(Transport accidents) : 사람이나 화물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반하기 위하여 주로 설계된 기계장치가 관련된 모든 사고를 말하며 자동차, 열차, 항공, 선박사고 등이 포함되며, 교통사고(交通事故, Traffic accident)는 비행기, 선박, 기차, 승용차, 오토바이 등을 탑승한 채 상호 충돌을 하거나 길을 건너다가, 보도를 걷다가 자동차, 기차, 오토바이 등과 충돌하여 사망한 경우를 포함함
*고의적 자해(자살, Intentional self-harm)) : 어떠한 수단과 방법으로 행위자가 자신의 죽음을 초래할 의도를 가지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함. 부모가 어린 자녀와 동반 자살한 경우 어린 자녀는 자살이 아닌 타살에 해당함
원사인 ① 직접 사망에 이르게 한 일련의 사건을 일으킨 질병이나 손상 또는
② 치명적 손상을 일으킨 사고나 폭력의 상황을 말한다.
조사망률 사망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서 연간 총 사망자수를 해당년도의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비율

    1년간 발생한 사망자수
-------------------- x 1,000(또는 x100,000)
            연앙인구
사망원인별 사망률 특정 사망원인에 의한 연간 사망자수를 해당 연도의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00 분비로 나타낸 것으로 어떤 사망원인에 의한 사망이 얼마나 발생하는가를 표시

    특정 사망원인에 의한 사망자수
---------------------------- x 100,000
                   연앙인구
직접 산과적 사망 임신상태(임신, 진통 및 산욕)의 산과적 합병증으로 인하여, 개입, 생략, 부정확한 치료로 인하여 또는 이상의 어떤 것으로부터 발생한 일련의 사건으로 인하여, 발생한 사망
간접 산과적 사망 기존의 질병 또는 임신중에 발전하고 직접 산과적 원인에 의하지 않았으나 임신의 생리적 영향에 의해 악화된 질병으로 인한 사망
연령별 사망원인별 사망률 특정 연령의 사망원인에 의한 연간 사망자수를 해당 연도의 연령별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00분비로 표시

    특정 연령의 사망원인에 의한 사망자수
---------------------------------- x 100,000
              특정 연령의 연앙인구
연령표준화 사망률 인구구조가 다른 집단간의 사망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사망률로 표준인구는 2005년 주민등록 연령별 연앙인구(남녀전체)를 사용

     Σ(연령별 사망률 × 표준인구의 연령별 인구)
--------------------------------------- x 100,000
                          표준인구
영아사망률 출생 후 1년 이내(365일 미만)에 사망아수를 해당 연도의 출생아수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표시

      당해연도 출생 후 1세 이내 사망아수
-------------------------------- x 1,000
          당해연도 연간 총 출생아수
모성사망비 임신과 관련된 원인으로 임신 또는 분만 후 42일 이내에 발생한 여성사망자수를 해당 연도의 출생아수로 나눈 수치를 100,000분비로 표시

       당해연도의 모성사망자수
------------------------ x 100,000
     당해연도 연간 총 출생아수
알코올 관련 사망 알코올에 의한 직, 간접적 질환 및 중독사고를 포함. 단 비의도적 손상, 타살, 태아알코올증후군과 같은 비간접적 알코올 관련 사망은 제외

해당사인:  E24.4  알코올 유발성 가성 쿠싱 증후군
               F10    알코올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G31.2  알코올에 의한 신경계통의 변경
               G62.1  알코올 다발 신경병증
               G72.1  알코올성 근육병증
               I42.6   알코올성 심장근육병증
               K29.2   알코올성 위염
               K70     알코올성 간질환
               K86.0   알코올 유발성 만성췌장염
               R78.0   혈액내 알코올의 발견
               X45     알코올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65     알코올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Y15     알코올에 의한 의도미확인의 중독 및 노출
연령별 사망률 특정 연령의 연간 사망자수를 해당년도의 연령별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것으로 어떤 특정 연령층에 사망이 얼마나 발생하는가를 표시한다.

      특정연령의 사망자수
   -------------------  x 1,000(또는 x100,000)
      특정연령의 연앙인구

* 조사망률 및 연령별 사망률 계산시 일반적으로 1,000 분비를 사용하나, 100,000분비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망원인 결과분석에서는 사망원인별 사망률 계산과의 일치를 위해 100,000분비를 사용하였다.
사망원인 사망진단서에 기록되는 사인이란 사망을 유발했거나 사망에 영향을 미친 모든 질병, 병태 및 손상과 이러한 손상을 일으킨 모든 사고 또는 폭력의 상황을 말한다.
특정감염성 및 기생충성질환 일반적으로 전염 및 전파하는 것으로 인정된 질환군을 총칭
*호흡기결핵(Respiratory tubeculosis) : 호흡기(비강, 후두, 기관, 기관지, 폐)에 결핵균(Mycobacteriumtuberculosis)이 감염된 것
기초자료
기초자료 수집 및 자료명 인구동향조사, 사망신고자료 및 사망원인보완조사 자료
법적근거
법적근거 통계법 및 가족관계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작성연혁
작성연혁 최초작성년도 : 1980
주요연혁 : - 1982년에 『1980년 사망원인통계연보』최초 발간
- 1982년-1984년은 통계 작성 대상 기간의 2년 후에 연보 발간
- 1985년부터는 통계 작성 대상 기간의 1년후에 연보 발간
- 2007년부터 『2005년 사망원인통계연보 : 시도편』발간
- 2011년 통계부터 사망원인보완조사(구 영아모성사망조사)를 보건복지부에서 통계청으로 이관하여 실시( 2012.4.30 영아모성사망통계 3개 부문 총 89항목 신설 확대
   변경사유:복지부에서 별도로 실시하던"영아모성사망조사"를 통계청"사망원인통계조사"로 흡수및통합)
- 2021년 통계부터 제8차 개정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반영
작성체계
작성체계 가공분석:가족관계의 등록등에 관한 법과 통계법에 따라 전국 시구 및 읍면동에 신고된 사망신고서 및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영아․모성․태아사망 건에 대한 조사자료로 작성
승인내역
승인번호 101054
승인일자 1999-12-15
통계종류 지정통계
통계추정·추계 및 분석
추정산식
추정산식 추정기법 : 해당사항 없음
지수편제
지수작성방법
지수산식 해당없음
기초자료
지수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해당없음
지수작성계열 해당없음
지수형태 및 활용
원지수(경상/불변) 해당없음
참고자료
비밀보호
마이크로데이터(관리실태 포함) 마이크로데이터 검색방법 : mdis.kostat.go.kr
마이크로데이터 보유여부 : 보유
마이크로데이터 공개여부 : 공개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제출
WHO
기타 참고자료
기타 참고자료 사망진단서 작성안내 리플릿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