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국내인구이동통계
시점
---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007
2006
2005
2004
2003
2002
2001
2000
1999
1998
1997
1996
1995
1994
1993
1992
1991
1990
1989
1988
1987
1986
1985
1984
1983
1982
1981
1980
1979
1978
1977
1976
1975
1974
1973
1972
1971
1970
보고목적
인구 이동 상황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인구정책 및 지역간 균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조사주기
월
자료보고방법
행정집계
보고체계
주민등록전입신고→동·읍·면→중앙주민전송망센터→행정안전부 행정정보중계시스템→통계청
통계종류
지정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통계청 인구동향과 (☎ 042-481-2285)
보고목적 및 활용
보고목적
인구 이동 상황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인구정책 및 지역간 균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통계(활용)분야 · 실태
인구
작성유형
작성유형
보고통계
조사대상
보고대상 범위
주민등록 전입 · 재등록신고서
보고대상 지역
동읍면
보고단위 및 보고대상 규모
개인
주민등록법에 의한 전입신고자(동일 읍면동관내 전입신고자 제외)
보고항목
보고항목
ㅇ주민등록인구, 인구변동요인(전입, 전출, 출생, 사망등),전입지,전입일자,전출지,주민등록번호(생년월일,성)
- 국내인구이동수, 국내인구이동건수(전입신고건수)
공표
공표주기
월
공표시기
작성기준 월 익월
공표범위
동읍면
공표방법 및 URL
언론(보도자료)+전산망(인터넷)+간행물
인구이동통계연보(익년 2월)
http://www.kosis.kr
국내인구이동통계
보고기간
보고대상기간 및 보고기준시점
매월1일~매월말일
보고기간
작성대상월 익월 1일 ~ 말일
조사주기
월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이동사항의 미신고, 지연신고, 허위신고 등으로 사실상의 이동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주요 용어해설
이동 (Migration)
·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변경한 경우(전입 기준)
전입 (Inmigration)
· 행정구역 경계(시도, 시군구, 읍면동)를 넘어 다른 지역에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해 온 경우
전출 (Outmigration)
· 행정구역 경계(시도, 시군구, 읍면동)를 넘어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간 경우
순이동 (Net migration)
· 전입 - 전출(전국 순이동 =0)
순유입(Plus net migration)
· 전입이 전출보다 더 큰 경우
순유출(Minus net migration)
· 전출이 전입보다 더 큰 경우
이동률 (Migration rate)
· 주민등록인구(거주자) 100명당 이동자 수
· 월,분기 이동률은 연간 수준으로 환산한 수치
· 이동률(전입률, 전출률, 순이동률)
= 이동자수(전입자수, 전출자수, 순이동자수)/연앙인구 × 100
· 연앙인구(분모)
= (전년말 주민등록인구(거주자) + 금년말 주민등록인구(거주자)) /2
전국인구이동(Internal migration)
· 전국에서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변경한 경우
= 시도간이동 + 시도내이동
시도간 이동 (Inter-Province Migration)
· 시도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
시도내 이동 (Intra-Province Migration)
· 시도 내에서 읍면동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
시도내이동 - 시군구내
· 동일한 시도, 시군구 내에서 읍면동 경계만 변경한 경우
* 예시) 대전광역시 서구의 둔산1동에서 서구의 월평동으로의 이동
· 시군구의 '시'는 9개 도의 자치시와 행정시인 제주시, 서귀포시 포함
시도내이동 - 시군구간 전입(전출)
· 시도 내에서 시군구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
* 예시) 대전광역시 서구의 둔산1동에서 유성구의 노은1동으로의 이동
전입신고 건수(The number of Reports on Inmigration)
- 전입지 읍면동에 접수된 전입신고 총 건수(읍면동 내 이동 제외)
- 동일시점에 동일세대 구성원이 동시에 전입 신고한 경우 함께 신고한 세대원수에 상관없이 한건으로 집계
자료보고방법
자료보고방법
행정집계
보고연혁
보고연혁
○ 1968년 : 주민등록법 개정으로 지역 상호간의 전출입 상황, 전출입 사유별 이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보고 항목 확대
○ 1970년 : 서울, 부산, 9개도 및 5개 주요 도시(대구, 인천, 광주, 대전, 전주)의 인구이동 상황을 파악하기 시작
※ 조사근거 : 당시 통계법 제13조에 의한 정기조사표보고 양식승인 제14호에 의하여 읍면동의 전출입상황을 매월 2종의 보고서식에 의해 경제기획원으로 제출
○ 1971년 : 「인구이동통계연보」창간호 발간(6월)
○ 1975년 : 주민등록일제정리로 인해 전출입 과거 미신고분 집중 정리
○ 1976년 : 「인구이동조사」로 일반통계 작성승인(제10115호)
○ 1979년 : 주요 도시에 마산을 추가하여 6개 도시로 확대
○ 1981년 : 경기도 인천시가 인천직할시로,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하여 분리
○ 1983년 : 주민등록증 일제 갱신
○ 1986년 : 전라남도 광주시가 광주직할시로 승격하여 분리
○ 1987년 : 주요 도시에 8개 도시(수원, 성남, 안양, 부천, 청주, 목포, 포항, 울산)를 추가하여, 5개 특별시․직할시, 9개 도 및 11개 도시 이동상황 파악
○ 1989년 : 충청남도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하여 분리되고, 주요 도시에 천안을 추가
○ 1994년 : 주민등록 관리업무 전산화 시작(7월 1일)
- 전출신고제도 폐지
○ 1995년 : 수집계에서 전산집계로 집계방식 변경
- 시군구 및 연령(5세계급)별로 자료수집 범위 확대
○ 1996년 : 시군구 및 연령(5세계급)별 인구이동자료를「1995년 인구이동통계연보」에 수록
○ 1999년 : 전입신고자료 시도별 개별 입수에서 중앙주민전산망센터를 통한 일괄 입수체계로 전환(1월)
- 분기별 인구이동통계 작성 및 공표(매분기)
- 일반통계에서 지정통계로 전환(12월)
○ 2000년 : 월별 인구이동통계 작성 및 공표(http://www.kosis.kr)
○ 2008년 : 「국내인구이동통계」로 명칭 변경
○ 2009년 : 월별 보도자료 공표
○ 2014년 : 분기 보도자료 공표
○ 2018년: 월간 및 분기 이동률을 연간 수준으로 환산하여 제공('00년 1월 결과부터 소급한 이동률 제공)
보고체계
보고체계
주민등록전입신고→동·읍·면→중앙주민전송망센터→행정안전부 행정정보중계시스템→통계청
승인내역
승인번호
101015
승인일자
1976-04-10
통계종류
지정통계
참고자료
비밀보호
마이크로데이터(관리실태 포함)
○ 국내인구이동통계 작성을 위해 제공받는 입수자료는 개인 식별이 불가능한 개인정보가 최소화된 자료를 입수하여 개인정보를 보호
○ 마이크로데이터 관리체계 : 자료공표 후 마이크로데이터과에 이관요청
○ 마이크로데이터 검색방법: mdis.kostat.go.kr
집계표 데이터
○ 공표자료는 시군구 단위(연월간) 또는 최소 읍면동(연간)으로 개인식별이 불가능하며 원시자료는 생년월일을 제거하고 성, 연령에 관한 정보로 변경하여 제공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미제출
기타 참고자료
기타 참고자료
보도자료 홈페이지 링크: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4/index.board
국제기구 제출: OCED 지역통계
1.Inter-regional Mobility, large TL2(7개 권역) and small TL3(17개 시도) regions
- New residents in the region coming from another region of the same country
- New residents in the region aged 15 to 29 coming from another region of the same country
- Persons who left the region to reside in another region of the same country
- New residents in the region aged 15 to 29 coming from another region of the same country
- Net inter-regional mobility, All Persons (inflows minus outflows)
2. Demographic indicators by access to city typology, Country level
- Country level은 아래의 5개 지역범주로 구분됨
- regions with a large or very large city, regions with a very large city(>1M hab.), regions with a large city(>250K hab.), regions near a large city, regions with/near a medium city(50K~250K hab.)
3. 링크(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REGION_DEMOGR)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