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설명자료
전체조사보기
가계동향조사
시점
---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007
2006
2005
2004
2003
2002
2001
2000
1999
1998
1997
1996
1995
1994
1993
1992
1991
1990
1989
1988
1987
1986
1985
1984
1983
1982
1981
1980
1979
1978
1977
1976
1975
1974
1973
1972
1971
1970
1969
1968
1967
1966
1965
1964
1963
1951
조사목적
□ 가구에 대한 가계수지 실태를 파악하여 국민의 소득과 소비 수준변화의 측정 및 분석 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
◦ 소비자 물가지수 작성에 필요한 가중치 기초자료 제공
◦ 소득수준 측정 및 소득동향 파악을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가계수지 및 가구의 후생수준 분석, 국민소득 추계 등 경제․사회통계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주거이전비 산정, 취약계층 지원사업, 근로자 임금기준의 결정 등의 기준 제공
조사주기
분기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조사체계
표본가구→지방통계청(사무소)→통계청
통계종류
지정통계
통계개요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작성기관 및 부서(전화번호)
통계청 사회통계국 가계수지동향과 (☎ 042-481-2289)
조사목적 및 활용
조사목적
□ 가구에 대한 가계수지 실태를 파악하여 국민의 소득과 소비 수준변화의 측정 및 분석 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
◦ 소비자 물가지수 작성에 필요한 가중치 기초자료 제공
◦ 소득수준 측정 및 소득동향 파악을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가계수지 및 가구의 후생수준 분석, 국민소득 추계 등 경제․사회통계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주거이전비 산정, 취약계층 지원사업, 근로자 임금기준의 결정 등의 기준 제공
통계(활용)분야 · 실태
소득·소비·자산
작성유형
작성유형
조사통계
조사대상
조사대상 범위
- 전국에 거주하는 일반가구(농림어가 포함)
※ 제외가구 : 외국인가구 및 집단가구, 음식숙박겸용주택가구
가구
조사대상 지역
전국
조사단위 및 조사대상 규모
가구
가구
◦ 표본규모- 약 7,200가구
적용분류
(주) 산업/대분류
조사항목
조사항목
ㅇ가구
- 가구실태 관련 항목: 가구원에 대한 사항(가구주와의 관계, 성별, 연령 등), 거처 구분, 자동차보유여부, 주거에 관한 사항 등
- 가구의 소득 및 지출항목
조사표
2023년 가계동향조사_조사표.pdf
공표
공표주기
분기
공표시기
- 소득(분기) - 지출(분기, 연간)
공표범위
전국
공표방법 및 URL
전산망(인터넷), 언론(보도자료)
미발간
http://kostat.go.kr
조사기간
조사대상기간 및 조사기준시점
소득, 지출 : 조사월
조사기간
조사대상월 1일 ~ 말일
조사주기
분기
계속여부
계속통계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자료이용시 유의사항
ㅇ 연도별 전국 집계기준이 다르므로 자료 이용시 유의해야 함.
- 가계동향조사(2019~)
1) ‘1인이상 가구’ 자료: 연간기준 지출 자료로 농림어가 포함
2) ‘2인이상 비농림어가’ 자료: 가구원 수 2인이상 농림어가를 제외
* ‘가구원 수’별 통계표는 1인 가구도 포함
-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2017-2018년)
연간기준 지출 자료로 가구원 수 1인 이상, 농림어가를 포함하여 집계
다만, 지출부문은 시계열모형에 따른 연계작업을 통해 연간 및 분기기준 1인이상 및 2인이상 비농림어가를 대상으로 추정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음(※자료는 하단참조)
- 가계동향조사(신분류 ~2016년, 소득부문 2017~2019년)
가구원 수 2인이상 비농림어가, ‘17-’19년도는 소득부문만 제공
* ‘가구원 수별 통계표는 1인 가구도 포함
- 가계동향조사(구분류 ~ 2008년)
가구원 수 2인 이상 농림어가를 제외
* ‘가구원 수’별 통계표도 가구원 수 2인 이상을 대상으로 집계
ㅇ 도시근로자가구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로서 가구주가 임금 근로자인 가구를 의미하며, 1963년부터 이에 대한 통계 시계열자료가 제공되고 있음.
ㅇ 소득에는 가구주 개인의 소득뿐만 아니라 가구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가구원의 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타가구로부터의 이전과 정부 및 사회단체로부터의 보조금 등이 모두 포함됨
ㅇ 소득에 관한 모든 금액자료는 가구당 월평균 금액이며,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물가상승분이 포함된 명목금액임.
ㅇ 현재 가구를 구성하고 있는 가구원에 대한 소득과 지출을 조사하여 집계한 자료이므로 타지에 나가 있는 가족의 소득과 지출은 포함되지 않음
ㅇ 가구특성은 가구주를 기준으로 한 것임.
ㅇ 분기별 소득 자료는 계절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년동분기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야 함.
ㅇ 5(또는 10)분위별 소득이란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한 다음, 최하위 가구부터 최상위 가구까지 5(또는 10)구간으로 등분하여 각 구간별 소득을 평균한 금액임. 그러므로 구간별 가구수는 전체 가구수의 20(또는 10)%임.
- 여기서 소득이 가장 낮은 쪽의 구간이 1분위이고 가장 높은 쪽의 구간이 5(또는 10)분위임.
ㅇ 비소비지출에는 조세, 사회보험료 등의 공적지출과 타가구 송금 등 사적 이전지출이 포함되어 있음.
- 조세는 가구에서 납부한 직접세(소득세, 재산세, 자동차세 등)임.
-------------------------------------------------------------------------
※가계동향조사 지출부문 시계열모형에 의한 결과
1_2. 가계동향조사 시계열 모형에 따른 추정결과(2017~2019년).xlsx
주요 용어해설
가구(家口, household)
1인 또는 2인이상이 모여 취사, 취침 및 생계를 함께하는 생활단위로 일반가구, 집단가구, 외국인가구로 구분. 가계동향조사에서는 일반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집단가구나 외국인 가구는 조사하지 않음
가구주(家口主, reference person)
호적 상의 호주나 주민등록상의 세대주와는 관계없이 가구의 구성원중 실제적으로 생계를 책임지고, 생활비용을 주로 조달하고 있는 사람. 따라서, 주민등록의 세대주나 단순히 가구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는 가장과는 차이가 있음
가구원(家口員, household member)
주민등록 등재여부와 관계없이 생계를 같이하고 자산 또는 소득의 전부나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가구의 구성원. 가구는 혈연관계인 가족으로 구성되기도 하고, 비혈연관계인 가구원이 동거하는 경우도 있음.
또한, 가족이라 해도 취업, 유학 등의 사유로 함께 생활하지 않는 경우는 가구원에 포함하지 않음
근로자가구(勤勞者家口, wage and salary earners)
가구주가 정부나 기업(준법인기업 포함)에 고용되어 정신적 또는 육체적 노동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급여를 받는 가구
소득(所得 : income)
가구의 실질적인 자산의 증가를 가져온 일체의 현금 및 현물의 수입을 말하며 경상소득과 비경상소득으로 구성. 자산거래, 이전 및 보유로 인한 평가손익 및 자산거래로 인한 손익은 포함되지 않음
경상소득(經常所得 : current income)
가구가 근로제공의 대가로 받은 근로소득, 자영사업으로부터의 사업소득, 자산으로부터 이자, 배당금 등의 재산소득, 정부, 타가구, 비영리단체 등으로부터 이전되는 이전소득 등 경상적으로 발생하는 소득
비경상소득(非經常所得 : non-regular income)
경조소득, 퇴직수당 등 일정하지 않고, 확실하지 않으며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소득을 말함
가계지출(家計支出 : expenditure)
가계지출은 실질적으로 가계의 자산이 감소되는 지출로써,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로 구성
가계지출의 구성
(1)소비지출
01.식료품및비주류음료
02.주류및담배
03.의류및신발
04.주거및수도광열
05.가정용품및가사서비스
06.보건
07.교통
08.통신
09.오락·문화
10.교육
11.음식·숙박
12.기타상품및서비스
(2)비소비 지출 :
조세,공적연금,사회보험,비영리단체로이전, 가구간 이전 등
소비지출(所費支出 : consumption)
생계 및 생활을 위해 소비하는 내구재, 비내구재, 준내구재의 상품 및 서비스의 구입에 대한 대가로 지출하는 비용
비소비지출(非所費支出 : current transfer paid)
조세, 공적연금, 사회보험, 비영리단체로 이전, 가구간이전 등 소비지출 및 자산구입이 아닌 금액
소득 5분위배율(所得5分衛倍率 : the 5th quintile over 1st quintile)
소득 상위 20%의 평균소득/ 소득 하위 20% 평균소득 으로 계층간 소득격차를 보여줌
처분가능소득(處分可能所得 : disposable income)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비영리단체로 이전, 타가구로 이전 등의 비소비지출을 공제하고 남는 소득. 즉, 가구에서 이전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소비지출 할 수 있는 소득(가처분소득과 같은 용어임)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
(주) 면접조사
조사연혁
조사연혁
최초작성년도 : 1963
주요연혁 :
- 1942년 일제말기 처음 조사
- 1951년~1962년 : 한국은행에서 조사
ㆍ1951. 7 : 부산의 60가구(전시의 국민의 소비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생계비조사-유의표본 추출방식)
ㆍ1954 ~ 1959 : 서울 근로자 200가구(유의추출)
- 1962. 12. : 통계작성 승인
- 1963. 1. :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현 통계청)으로 이관
- 1963년 ~ 1968년 : 전국 도시 1,700가구를 표본조사
- 1969년 ~ 1974년 : 다목적 표본설계를 통해 표본변경과 아울러 1,800 가구에 대해 식료품비만 가계부 기장방식으로 조사(나머지 비목은 분기별로 면접조사)
- 1969년 : 표본개편
- 1972년 : 표본개편
- 1975년 ~ 현재 : 전비목에 대하여 가계부 기장방식을 채택하여 조사
- 1977년 : 표본개편
- 1982년~1994년 : 소비지출을 5대 비목에서 9대 비목으로 세분하여 조사
- 1982년 : 표본개편
- 1988년 : 표본개편
- 1993년 : 표본개편
- 1995년이후 : 소비지출 비목중「교육ㆍ교양오락」을 「교육비」와「교양오락비」로 구분하여 10대 비목으로 확대
- 1998년 : 표본개편
- 2003년 : 표본개편, 도시가계조사에서 전국가계조사로 확대
- 2005년 : 연동표본제 도입
- 2006년 : 1인가구 조사, 전자가계부 조사방식 도입
- 2008년 : 연간화 및 균등화 소득분배지표 작성·공표
- 2009년 : 소비지출의 항목분류를 COICOP에 기반을 둔 12대 분류체계로 개편
- 2014년 : 일부항목분류 통합(426개 분류)
- 2017년 지출부문과 소득부문으로 이원화하여 조사 실시
ㆍ (지출부문) 전용표본 12,000가구, 농림어가 포함, 연간통계
ㆍ (소득부문) 기존 다목적표본(5,500가구), 분기통계
- 2018년 (소득부문) 기존 다목적표본 규모 확대(8,000가구)
- 2019년 가계동향조사 소득‧지출 통합(전용표본 월 7,200가구), 농림어가포함
ㆍ 이원화된 분기 소득부문과 연간 지출부문 조사를 단일한 6-6-6 연동표본체계로 통합하여 조사실시
ㆍ (소득부문) 1년간 한시적으로 병행실시
조사체계
조사체계
표본가구→지방통계청(사무소)→통계청
승인내역
승인번호
101006
승인일자
1962-12-08
통계종류
지정통계
조사관리
전수/표본관리
전수/표본관리
- 가구수 변동에 의한 표본교체 : 과대 및 과소조사구, 과소구역조사구 발생시 지방사무소와 협의를 거쳐 조사구 조정
- 전입 및 전출가구 관리 : 조사구역내에 새로운 가구가 전입하였을 때는 전입 이후부터 조사대상 가구로 하여 조사하고, 전출가구에 대해서는 조사를 중지함.
조사업무흐름도
조사업무흐름도
조사담당자 → 사무소 총괄자 → 지방청 총괄자 → 본청 가계동향조사 담당
표본설계
모집단
목표모집단 및 조사모집단
ㅇ 목표모집단: 조사기간 동안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일반가구
ㅇ 조사모집단:
-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조사구 내 일반 가구
* 기숙시설, 특수사회시설 등 시설조사구 내 집단 가구 제외
표본추출틀
- 조사모집단 내 일반조사구 중 조사구 특성이 보통, 아파트인 조사구(접근이 어려운 섬 조사구 제외)
- 가계소득조사는 경제활동인구조사와 함께 실시되는 다목적 표본조사로써 경활 표본 중 일부를 소득조사 표본으로 추출
표본설계방법
추출단위
- 조사구
표본추출방법
- 표본체계: 가계소득 및 지출구조 파악에 특화된 전용표본 체계
- 표본추출: 층화2단집락추출
표본규모 산출식
표본오차 : - 소득 및 지출에 대한 표본오차 KOSIS 수록
* 상대표준오차(CV)가 큰 경우 이용에 유의
표본배분방법
- 조사구추출: 층화 2단 집락추출
- 가구추출: 조사구 내에서 8가구 추출
통계추정·추계 및 분석
추정산식
추정산식
<표본오차 추정>
- 테일러 선형 방법
표본오차 추정산식.hwp
가중치조정
1) 설계가중값
: 표본설계방법에 따라 설계층별 표본가구 추출률의 역수로 산출
2) 무응답 가중값
: 불응 등의 가구 무응답으로 인한 표본 손실을 보정하기 위해 무응답 가중값 보정
3) 사후 가중값
: 설계 당시에 고려하지 못한 모집단의 분포를 보정하고 최신의 모집단 규모를 반영하기 위해 가구 특성 분포를 활용한 반복비례가중법 이용
* 사후가중값: 3단계 반복비례방법
- 지역층, 주택유형,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대로 사후층 구성
4) 최종 가중값
무응답 가중값과 사후 가중값 반영하여 작성
지수편제
지수작성방법
지수산식
.....
기초자료
지수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
지수작성계열
.....
지수형태 및 활용
원지수(경상/불변)
.....
참고자료
작성지침서
작성지침서(기획서)
2023년 가계동향조사 지침서(외부용).pdf
비밀보호
마이크로데이터(관리실태 포함)
- 응답가구ID와 주소 정보를 제외한 대부분의 조사자료 공개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국제기구제출 여부 및 국제기구명
미제출
기타 참고자료
기타 참고자료
* 가계동향조사 자료 수집방법(주): 가계부(자기기입식 방식)
이용자용 가계동향조사 항목분류 설명서.hwpx
※ 통계자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위 출처 정보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자료를 못찾으셨다면 통계청 민원실 및 통계자료문의코너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콜센터 02-2012-9114